문 대통령 지지율 상승, 국힘 10%대로 하락..秋 아들 논란 별 영향 없어민주당 39%, 국민의힘 19%, 정의당 5%, 국민의당 4%, 열린민주당 3%최진 "최근 각종 악재가 쏟아졌고, 임기 후반기임을 감안하면 '콘크리트'를 넘어 '다이아몬드' 지지율"
국민의힘 등 야권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병가를 두고 확인되지 않은 가짜뉴스까지 뿌리면서 무차별적으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지만,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전주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민주당의 지지율도 별 변동이 없다.
11일 한국갤럽의 최근 집계(8~10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천2명 대상,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p)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지난주보다 1%p 상승한 46%를 기록했다. 부정평가는 45%로 나타났다. 오차범위 내 긍정평가가 소폭 높게 나왔다.
매에는 장사가 없는 법인데 추 장관 아들 파문 속에서도 선방한 셈이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학습효과로 국민들의 인식이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20대, 남성의 지지율이 흔들리고 있다는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가 있었지만 오히려 지지층은 더욱 결속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일반적으로 역대 전 정권은 집권 4년이 되면 권력 누수 현상이 시작됐지만 올해 집권 4년차를 맞은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이례적이라는 것이다.
국힘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부터 시동을 걸면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박원순 전 서울시장, 윤미향 의원,까지 조중동 등 보수언론과 합세해 여권에 각종 조작성 뉴스로 데미지를 걸었지만 문 대통령은 이들 악재에도 여전히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다.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인 최진 정치평론가는 "최근 각종 악재가 쏟아졌고, 임기 후반기임을 감안하면 '콘크리트'를 넘어 '다이아몬드' 지지율"이라고 '한국경제'에서 언급했다.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는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은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이견이 공개적으로 표출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누가 여권 차기 주자가 되든 큰 줄기에선 정책적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 봤다.
그러면서 최 교수는 "이외에도 문재인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이어지는 범여권 180석(민주당+열린민주당)이라는 든든한 배경, 어떤 상황에서도 유지되는 탄탄한 강성 지지층 등이 있다. 이를 감안하면 레임덕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관측했다.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 이유를 물은 결과 응답자들은 '코로나19 대처(39%)', '전반적으로 잘한다(8%)', '복지 확대(6%)', '최선을 다한다(4%)', '서민을 위한 노력(4%)' 등을 꼽았다.
직무수행 부정평가의 경우 '경제·민생 문제 해결부족(12%)', '전반적으로 부족하다(12%)', '인사문제(11%)', '부동산 정책(11%)', '코로나19 대처 미흡(7%)', '독단적·일방적·편파적(7%)' 등으로 나왔다.
최근 일주일 사이 가장 큰 정치 현안으로 자리한 추미애 장관 아들 문제에 대한 부정평가는 경제·민생보다 아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은 "일각에선 추장관 아들 의혹을 작년 가을 조국 전 장관 상황에 비견하지만 그때만큼 파급력이 크다고 보긴 어렵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인사문제의 경우 대통령 취임 초기(2017년) 내각 인선과 인사청문회, 작년 8~10월 조국 전 장관 후보 지명부터 취임·사퇴 기간이 가장 큰 반응을 얻었다"라며 "당시 인사문제를 부정평가로 꼽은 응답이 30%를 넘었다"라고 지적했다.
정당 지지도의 경우 더불어민주당이 지난주와 동일한 39%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지난주보다 1%p 하락해 20%도 유지 못하고 19%로 나타났다. 정의당이 5%, 열린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모두 지난주와 동일한 4%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이 29%로 나왔다.
정치적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62%가 민주당, 보수층의 45%가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성향 중도층이 지지하는 정당은 민주당 36%, 국민의힘 15% 순이며, 34%가 지지하는 정당을 답하지 않았다. 연령별 무당층 비율은 20대에서 43%로 가장 많았다.
여론조사 관련 기타 상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및 여론조사기관 각 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지지율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