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중 9명은 4대강사업에 대해 이명박 집단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돼, 4대강사업 비리 등 MB정권의 비리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추진에 한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뷰스엔 뉴스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주)마크로밀엠브레인과 함께 지난달 13~15일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4대강사업의 문제점이 명백히 드러날 경우 이명박 정부의 주요 인사들이 그 책임을 져야 하느냐'고 물은 결과 90.1%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5.8%에 불과했고 '잘 모르겠다'는 4.1%였다.
MB세력이 주장하는 4대강사업의 효과에 대해서도 부정적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수질개선’에 대해서는 무려 86.2%가 “효과 없었다”고 답했으며, ‘홍수예방 효과’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국민도 77.9%에 달했다. ‘물 확보를 통한 가뭄 해결’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는 국민 역시 75.0%에 달했으며, ‘일자리 창출 효과'에 대해서도 80.7%가 효과가 없었다고 답했다.
4대강사업후 창궐하는 녹조와 관련해서도 '4대강사업이 녹조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는 응답이 79.6%에 달했다.
정부가 4대강사업을 떠맡은 한국수자원공사의 부채 처리와 관련, 수도요금을 올리려는 데 대해서도 불과 2%만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돼 수도요금 인상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자원공사의 자구책 마련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가 36.2%, ‘부채 일부는 정부예산으로 탕감하고 나머지는 수자원공사가 자구책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은 39.6%를 차지해, 대다수 국민들은 어떤 방식이든 ‘수자원공사의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대강사업 부작용 해소책으로는 56.1%가 “단계적으로 또는 모든 보를 즉시 철거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보는 유지하되 수문을 개방해야 한다”는 의견은 29.7%였으며, “현재의 보 상태 유지”에 동의하는 비율은 1.1%에 불과했다.
시민환경연구소 안병옥 소장은 “이번 조사결과로 4대강사업의 폐해와 후유증에 대해 국민들이 갖는 우려가 매우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며 “‘4대강 자연성 회복 및 치유를 위한 정부, 국회, 시민사회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온라인 조사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였다.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